• 2023. 6. 22.

    by. 머니일보

     

    여름철만 되면 걱정되는 전기세. 난방비 폭탄이 끝났다고 안심했더니 이제는 전기세가 걱정입니다. 오늘은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 캐시백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한전 에너지캐시백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
     

    혜택 확대 한전 에너지캐시백 간단 신청하기(환급 대상, 신청 기간, 방법)

     

    한전 에너지캐시백이란?

    2022년부터 각 가정의 전기 사용료 절감, 전기세 부담 완화를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. 캐시백을 신청한 주택용 전기 소비자가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     

    구체적인 혜택은?

    지난 2개년 같은 달 평균 전기사용량에서 얼마나 줄었는지가 기준입니다. 

     

    3% 이상 절감률을 기록하고, 같은 지역 참여자의 평균 절감률보다 높을 경우 kWh당 30원의 기본 캐시백이 주어집니다.

     

    올해부터는 '차등 캐시백'도 추가됐습니다. 과거 2개년 평균보다 5% 이상 절감하면 구간별로 kWh당 최대 70원까지 추가로 캐시백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절감률이 5~10% 미만이면 30원, 10~20%는 50원, 20~30%는 70원입니다. 내년 1월부터는 단가가 바뀔 예정입니다. 

     

    이에 따라 올해는 차등 캐시백까지 더해 최대 kWh당 100원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 최대 절감률 한도는 30%까지입니다. 그 이상 절감하더라도 캐시백 금액은 늘지 않습니다.

     

    올해는 7월 전기사용 절감분부터 캐시백이 주어집니다. 

     

    혜택 대상자

    일반주택이나 공동주택(아파트) 등에 사는 세대면 한전 에너지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구성원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1년 전 같은 기간에 사용전력량이 없거나 한전의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객 등은 제외됩니다. 이사를 한 경우에는 이사한 집의 기존 거주자의 전력사용량이 기준이 됩니다. 

     

    온라인 신청하기

    신청은 간단합니다. '한전 에너지캐시백'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절차만 거치면 추가 서류 제출 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다만 한전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를 찾는 게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. 특히 일부 인터넷 포털사이트는 검색을 하더라도 공식 홈페이지가 맨 위에 노출되지 않기도 합니다.

     

    ↓한전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

    한전 에너지캐시백 온라인 신청하기

     

    앱 '한전:ON'에 접속하거나 한전 고객센터(123)를 통해서도 온라인 가입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한전은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세대를 위해 방문 신청(한전사업소)도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.

     

    신청 기간

    이번 달 7일부터 신청을 받았으며, 오는 8월 31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세대는 7월분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절감량은 신청한 달부터 산정됩니다.

     

    캐시백 지급 방법(현금x)

    기존에는 반기마다 캐시백을 산정해, 그 금액만큼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했습니다. 그러나 지금은 매달 캐시백을 책정해 익월 전기요금에 반영(차감)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올해부터 현금으로는 받을 수 없습니다. 기존에는 현금수령을 비롯해 기부도 가능했지만 계좌 등록, 개인정보 입력 등 과정이 복잡해 배제됐습니다.